![]() |
성 명 | 오구환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목조형가구 | |
직 위 | 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33 | |
연구실 | S17-0507호 | |
Homepage |
|
|
주요약력 | 1970년 동아대학교 미술학과 졸업 | |
---|---|---|
1984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| ||
1987년 일본 가나자와(金澤)국립미술공예대학 이수 | ||
1996년 중국 칭화 (淸華)대학 미술학원 연구 교수 | ||
2004년 중국 하얼빈 사범대학 예술학원 특빙교수 | ||
중국 칭화 (淸華)대학 미술학원 교환교수 | ||
2005년~2008년 중국 칭화 (淸華) 대학 미술학원 객좌교수 | ||
2013년~2014년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장,문화 예술 대학원장 | ||
2016년~2018년 동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장 | ||
수상경력 | - 대한민국 미술대전 우수상,특선(초대작가) | |
- 부산산업디자인전 초대작가상 | ||
- 봉생문화상 수상 | ||
전시경력 | 개인전14회(서울,부산,중국,일본) | |
- 한국 현대공예 초대전(핀란드) | ||
- 예술의 전당 개관 기념 초대전(서울) | ||
- 서계 칠예 초대전 (대만) | ||
- 청주 국제 공예 Biennale 초대 작가전(청주) | ||
- 한국의 현대와 전통 공예 초대전(미국) | ||
- 대전국립박물관 Art in Life초대전(대전) | ||
- 하문 국제 칠예 초대전(중국) | ||
- Itami 박물관 한국 공예 초대전(일본) | ||
- 대구대학교 현대목칠공예 전시관 개관 초대전(대구) | ||
- 통영 옻칠 미술관 개관 기념 초대전(통영) | ||
- 물질에서 예술로 초대전(부산시립미술관) | ||
- 한 일 국제 칠예 초대전(계명대학교 극재미술관) | ||
- 아시아 국제 칠예 초대전(중국) | ||
운영위원·심사위원 | 대한민국미술대전, 한국공예대전, 신라미술대전, 성산미술대전, 울산미술대전 부산미술대전, 부산산업design전, 정수미술대전, 대한민국 옻칠 공예대전 대한민국 명장, 전국기능경기대회, 대한민국 전승 기능 보유자 선정 부산공예품경진대회, 부산관광기념품공모전, 경상남도 문화재 전문위원, 부산시 문화예술위원회 위원 | |
![]() |
성 명 | 김영환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목조형가구 | |
직 위 | 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37 | |
연구실 | S17-0509호 | |
Homepage |
|
|
주요약력 | - ITALY DOMUS ACADEMY졸업 | |
---|---|---|
- APEC 정상회의 디자인 위원 등 정부기관 단체 및 부산광역시, 지방단체 등 다수 위촉 참여 활동 | ||
- 한국디자인진흥원 중소기업 디자인 지도위원· 부산광역시 디자인 진흥원 집행위원 등 다수 자문. 심사위원 참여 | ||
- 부산국제디자인 어워드, 한국공예가회 초대디자이너 KCDA등 단체출품 활동 | ||
- 부산성모병원 성당 및 실내 인테리어. 동아대학교 병원 인테리어, 동아대학교 박물관 및 승학캠퍼스 정문 광장, 몰운대 성당 성물 등등 다수 사회 및 종교단체 디자인 제작 | ||
- 현: 동아대학교 예술체육대학 공예학과 목조형가구 디자인 전공 교수 | ||
![]() |
성 명 | 김승호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미술이론(미술평론) | |
직 위 | 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25 | |
연구실 | S17-0604호 | |
Homepage |
|
|
학 력 | 프라이부르그 대학교 졸업(박사) | |
---|---|---|
경 력 | 독일국립중앙미술사학 연구소 국책연구원 | |
박사후연수, 한국연구재단 (연수기관: 홍익대학교) | ||
훔볼트 리서치 펠로우십 (기관: 칼수루헤 대학교) | ||
저 서 | - 제 3의 한국 현대미술, 그러나 어떻게?, 이담북스, 2014 | |
- Malerei als Bildnerischer Dialog. Das Werk Anselm Kiefers in der Gegenwartskunst, Waxmann, 2011. | ||
논 문 | - 예술·체육의 경영철학과 한림(漢林) 정수봉의 화이부동(和而不同), 석당논총, 82집, 2022, pp. 61-91. | |
- 회화의 확장성과 건축의 공간성 - 카타리나 그로세(Katharina Grosse)의 미술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, 미술문화연구, 제21호, 2021, pp. 121-152. | ||
- 자화상과 죽음의 이미지 : 아놀드 뵈클린(Arnold Böcklin)의 <바이올린을 켜는 해골이 있는 자화상>(1872)을 중심으로, 미술문화연구, 제18호, 2020, 53-77. | ||
-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: 게르하르트 리히터(Gerhard Richter)의 <가족초상화>(1965)를 중심으로, 석당논총, 76호, 2020, pp. 5-36. | ||
- 아우슈비츠 이후 예술가의 책무 : 안젤름 키퍼의 <(마가레테-술라미트-시리즈)>을 중심으로, 예술과 미디어, Vol. 18. No. 1, 2019, pp. 79-104. | ||
- Joseph Beuys und die Verantwortung des Ku?nstlers nach Auschwitz: Die Vitrine-Installation, Kunst im zwanzigsten Jahrhundert, Poetry, Music and Art, B.13, Traugott Bautz, 2018, pp. 393-415. | ||
- 한스 하케(Hans Haacke)의 「게르마니아(GERMANIA)」(1993) -국가 사회주의 이후 의식의 매니저로서의 비엔날레-프로젝트, 예술과 미디어, Vol, 17, No. 1, 2018, pp. 12-34. | ||
- 공간과 관찰의 변증법 -설치미술(Installation Art)의 범주설정과 문제의식, 예술과 미디어, Vol. 15, No. 3, 2016, pp. 33-71. | ||
- 아우슈비츠(Auschwitz) 이후 미술의 존재방식 : 요셉 보이스(Joseph Beuys)의 오브제를 중심으로, 미술사학보, 44집, 2015. 등 다수. | ||
![]() |
성 명 | 홍순환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현대미술 | |
직 위 | 조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23 | |
연구실 | S17-0606호 | |
Homepage |
|
|
학 력 | 2000 뒤셀도르프 국립미술대학 졸업 (1997. 마이스터쉴러, 2000. 아카데미브리프) 199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학과 졸업 |
|
---|---|---|
프로젝트 및 국제행사 | - 2015-2020 아트프로젝트울산(ICAPU) 운영위원장 겸 예술감독 | |
- 2009,2010,2016,2017 태화강국제설치미술제(TEAF) 예술감독 | ||
- 2006-2016 쿤스트독(KunstDoc) 디렉터 | ||
- 2008-2009 홍제천프로젝트-도시얼굴만들기 예술감독 | ||
- 2003 한국소리문화의전당 객원큐레이터 | ||
- 2002 서울국제행위미술제 사무국장 | ||
위촉위원 | - 부산현대미술관 자문위원(2022) | |
- 부산비엔날레 운영위원(2020) | ||
- 대구광역시 경관위원회 위원(2020) | ||
전 시 | 개인전(Solo Exhibitions) | |
- 2022. 삼육빌딩 / 서울 | ||
- 2021. 523쿤스트독 / 부산 | ||
- 2015, 쿤스트독 / 서울 | ||
- 2015. 봉산문화회관 / 대구 | ||
- 2015. 프랑스문화원 / 대전 | ||
- 2014. 자하미술관 / 서울 | ||
- 2014. 리각미술관 / 천안 | ||
- 2013. u station - 2300개의 물. 대구 | ||
- 2012. 갤러리 신라 - 중력의 구조. 대구 | ||
- 2010. 진화랑, 진아트센터 / 서울 | ||
- 2007. Gallery laden44. Dueseldorf, 독일 | ||
- 2003. Stellwerk im kulturBahnhof Kassel - The centrifugal force(원심력). Kassel, 독일 | ||
- 1998. Galerie Bloemkes & Poette. Wuppertal, 독일 | ||
- 1998. Kleine Rathaus-Galerie Odenthal - Die Identitaet(정체성). Odenthal, 독일 등 다수. | ||
![]() |
성 명 | 이훈기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도자예술 | |
직 위 | 조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31 | |
연구실 | S17-0510호 | |
Homepage |
|
|
학 력 | - 1996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졸업 | |
---|---|---|
- 2003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생활문화디자인학과 석사 | ||
- 2019 단국대학교 조형예술학박사 | ||
활 동 | - 2014국회의장상, 2013EBS사장상, 2012올해의 작가상 외 | |
- 2020KSBDA 국제특별전,예술과 삶_예술감독(세종문화회관 미술관2관전관) | ||
- 2020KSBDA 인사아트센터 국제특별전_예술감독(인사아트센터4,5층전관) | ||
- 2020한국-인도 국제교류초청전_예술총감독(동덕아트갤러리) | ||
- 2021.2019,2014광화문국제아트페스티벌(GIAF)예술감독(세종문화회관미술관,광화문광장 등)외 다수 | ||
논 문 | - 2021년:한국현대조형도자의 재현성과 표현성에 관한 연구-(기초조형학연구) | |
- 2019년:박사학위논문- 숭고미를 발현하는 수직적 기하형태의 대형도자작품 연구 | ||
- 2018년:탑의 조형성을 형상화한 도자조형 연구 -탑과 연구작품의 수직구조를 중심으로-(기초조형학연구) | ||
개인전 | - 11회개인전-2021년9월, 동그라미,네모(세종미술관2관) | |
- 10회개인전-2020년9월, 동그라미 그리고 네모展(동덕아트갤러리) | ||
- 9회개인전-2020년 4월, 눈&정체성展(동덕미술관 인사동분관-피움갤러리 초대전) | ||
- 8회개인전-2019년 7월, 노보시비르스크 시립미술관 개인초대작품전 | ||
- 7회개인전-2019년4월, 접시-바다와 석양展(서울특별시의회 갤러리초대전) | ||
- 5회개인전-2017년 5월, 2017서울 국제기획 초대작품전_이훈기 도자조각展(예술의전당) | ||
- 4회개인전-2014년 6월, 이훈기 도자조각25년_바램: 그래서 생명展(세종문화회관1층전시관 전관) | ||
- 3회개인전-올해의 작가상 수상전(세종문화회관 미술관) | ||
- 1회개인전-이훈기 도자조각展(세종문화회관 삼청각 야외 잔디마당) | ||
국내외 초대 및 단체전 | - 2019청주공예비엔날레. 기획전1,몽상가들(17개국)-초대작가 외 80여회 전시 | |
![]() |
성 명 | 곽기혁 |
---|---|---|
전공분야 | 영상예술 | |
직 위 | 조교수 | |
전 화 | 051-200-1739 | |
연구실 | S17-0601호 | |
Homepage |
|
|
학 력 | - 2014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졸업(전문사/MFA) | |
---|---|---|
- 2007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졸업(예술사/MA) | ||
근무경력 | - 2013 ~ 2022 ㈜스튜디오 돌곶이 기획실장 | |
- 2009 ~ 2022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강의 | ||
- 2016 ~ 2022 경기대학교 애니메이션학과 강의 | ||
- 2015 ~ 2017 대구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 강의 | ||
- 2007 ~ 2009 ㈜로보트태권브이 기획실 | ||
심사위원 | - 아리랑 TV <2016 청춘인문 논장판> 심사위원 | |
작품 | - 애니메이션 | |
단편 애니메이션 [씨름] : 기획/ 감독 (Annecy Festival 2017 경쟁/ WAF 2016 최우수상) | ||
단편 애니메이션 [MASCOT] : 기획/ PD (Annecy Festival 2019 경쟁/ Taichung Festival 2019 대상) | ||
단편 애니메이션 [MUSCLE MAN] : 기획/ 감독 (Annecy Festival 2008 경쟁/ Japan Pop culture Festival 2008 Ani-Cup 최우수작품상) | ||
웹애니메이션 시리즈 [냠냠 한식이야기] : 기획/ 감독 | ||
로보트태권V TV시리즈 파일럿 [깡통의 대모험] : 기획/ 감독 | ||
넷플릭스 러브·로봇·데스 시즌1 [굿 헌팅] 에피소드 : 원화 | ||
저서 | - 만화 | |
[냠냠 한식 이야기] 1~3권, 스튜디오 돌곶이, 2019~2020 | ||
[만화 한국전래동화 : 호랑이 이야기], 스튜디오 돌곶이, 2019 | ||
[만화 한국전래동화 : 도깨비 이야기], 스튜디오 돌곶이, 2020 | ||
[만화 한국전래동화 : 신화와 사랑 이야기], 스튜디오 돌곶이, 2021 | ||
[로보트태권브이 붉은 별 제국], 예림당, 2010 | ||
[로보트태권브이 우주작전], 예림당, 2010 | ||